한국전쟁 피난민 태극기

한국전쟁 피난민 태극기

韓國戰爭 避難民 太極旗
한국전쟁 피난민 태극기 사진
한국전쟁 피난민 태극기 사진
국가지정 및 경기도 유산 한국전쟁 피난민 태극기 관련 정보 제공 - 구분, 분류, 수량 및 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구분 경기도 등록유산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근대공예
수량/면적 1점 / 95X95(cm)
지정(등록)일 2021. 10. 27.
소재지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2910번길 96-63 (상봉암동) 자유수호평화박물관
시대 한국전쟁기
소유자(소유단체) 동두천시 자유수호평화박물관
관리자(관리단체) 동두천시

국가유산 설명

동두천 자유수호평화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태극기는 한국전쟁기에 피난민이 구해준 미군에게 제공한 후 동두천시에 기증된 것으로 현존하는 태극기들은 대체로 태극문양이 선명하게 남아 있는 것과는 달리 자유수호평화박물관 본은 붉은색(양)이 거의 남아 있지 않고, 푸른색(음)은 처음부터 검은색 물감으로 칠해져 있었던 점이 특이하다.
태극에 사용된 검은색은 푸른 음 부분과 4괘 부분에 동일하게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시각적으로는 다르게 보이는데 이는 가운데 태극 부분이 일장기를 바탕으로 해서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먼저 칠해져 있는 붉은 부분에 덧바르면서 나타나는 결과로 보이며 건곤감리 4괘의 검은색 안료와 동일한 안료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바탕 천은 가운데 가지런히 이어 붙인 손바느질 자국이 선명하고, 태극, 4괘에 밑그림용 연필 자국이 보이며 천안 독립기념관 소장의 태극기 목판처럼 거의 정사각형에 가까운 비율인 점이 특징이다.
한국전쟁 당시 북녘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피난민이 간직한 태극기로서 당시 긴박했던 역사적 비극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써, 상징과 역사적 의미 그리고 콘텐츠를 제공해줄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담당부서 정보

  • 담당국 : 복지문화국
  •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 담당팀 : 문화유산팀
  • 전화번호 : 031-860-3332